동충하초는 썩지 않고 미라처럼 형태를 유지하고 중국 청나라 '본초종신'에는 중국의 박쥐 나방의 애벌레에 기생하는 버섯을 불로초라 언급했습니다. 이런 천연 박쥐 나방 애벌레의 동충하초는 해발 4,000m 이상의 고산 지대에서만 채취되는 귀한 약재로 분류됩니다.
동충하초란

동충하초는 겨울에 곤충의 몸에 있다가 여름에는 풀처럼 나타난다 해서 이름이 지어진 버섯입니다. 곰팡이인 동충하초 군이 살아있는 곤충의 몸속으로 들어가서 발생하는 곤ㄴ충기생성약용버섯으로 동물성 기주와 식물성 자실체로 함께 존재하는 버섯입니다. 동충하초가 기생하는 곤충에는 잠자리와 나비, 매미, 파리, 거미 등이 있으며 알이나 유충, 번데기에 침입하여 땅속이나 죽은 나무에서 자랍니다. 나방류 번데기 속에 기생하여 내생균핵을 형성하고 성장하면서 번데기 밖으로 자라 곤봉형 또는 자좌를 형성하는 버섯입니다.
동충하초 종류
동충하초에는 크게 2가지(박쥐나방 동충하초, 큰번데기 동충하초)로 나뉘는데 그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박쥐나방 동충하초: 자좌의 발생은 늦가을에 발생하고 다음해 4~5월 사이에 포자 발생을 하고 생을 마감하는 것이 특징이며 곤충의 몸집이 큰 것은 자좌도 큽니다. 자좌의 형성은 주로 2개정도 되며 자랄 때 환경이나 건기 시 습도가 높으면 가지를 치는 것도 있습니다. 색은 검거나 붉으며 윗부분은 회갈색일 띠고 포낭이 오밀조밀하게 있습니다. 자좌는 달고 텁텁하며 매운향을 갖고 있으며 식용과 약용 둘다 사용 가능합니다. 이 동충하초의 경우 중국에서 인기가 많아 빠른속도로 사라지고 있습니다.
- 큰번데기 동충하초: 나방류 번데기 속에 기생하여 내생균핵을 형성하고 성장하면 번데기 밖에서 자라 곤봉형 또는 여러 모양의 자좌를 형성합니다. 자좌의 길이는 대개 5~10cm 정도이며 1개 혹은 여러 개의 분지가 있고 황색을 띠면서 기부로 갈수록 옅어집니다. 봄과 가을 사이 죽은 나방류 번데기 머리 혹은 복부에 기생하고 식용, 약용 모두 사용 가능합니다.
동충하초 효능
동충하초는 1930년대에 번데기 밀리타린에서 항암효과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제품화되면서 동충하초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자연산 외에도 현재 재배되는 동충하초 중 식품허가가 완료된 것은 번데기 동충하초와 눈꽃 동충하초 2가지입니다.
- 신장 건강 증진: 동충하초의 만티놀 성분은 수분을 흡수하여 이뇨작용을 도와주고 신장기능 강화에 효과적입니다. 그리고 생체반응을 활성화시켜 독소를 몸 밖으로 배출시켜줍니다. 동충하초에는 코디세핀이라는 성분이 있는데 해독작용을 하며 특히 흡연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노화 방지: 동충하초에는 효소 생성에 필요한 필수 아미노산이 풍부하여 효소를 생성해주고 노화 방지에 도움을 줍니다.
- 항암 효과: 동충하초의 밀리타린 성분은 항산화 성분으로 암세포의 성장과 전이를 방지하여 종양 발생을 억제시킵니다. 또, 에르고스테롤과 만니톨이 있어 간의 손상을 막고 기능을 회복 및 강화시켜 간암 예방 효과가 있습니다.
- 당뇨 예방: 당뇨병은 췌장 기능이 저하되어 발생하는 병으로 인슐린의 분비가 원활하지 못할 때 혈개의 포도당 수치가 높아져 생깁니다. 동충하초의 경우 췌장의 기능을 강화시켜주며 인슐린 분비를 촉진시키기 때문에 당뇨병 개선에 효과적입니다.
동충하초 구입 및 보관방법
동충하초를 고를 때는 이물질이 없는 깨끗한 것을 고르고 버섯 고유의 짙은 색과 밑동의 균막이 밝고 얼룩이 없는 것을 고릅니다. 자실체 발이수가 양호하고 부서지지 않는 것이 좋으며 밝은 색일수록 저장기간이 오래되었거나 보관상태가 좋지 않은 것이 고를 때 주의해야 합니다. 손질을 할 때는 살아있는 상태로 포장판매하나 재배한 것은 자실체만 잘라 판매합니다. 요리에 사용할 경우 깨끗하고 흐르는 물에 천천히 씻어주면 됩니다. 보관할 때는 버섯 부분만 떼어 지퍼백에 넣고 냉장보관하면 최대 1개월까지 보관이 가능합니다.
동충하초 부작용 및 주의사항
동충하초는 성분이 순하기 때문에 큰 부작용은 없지만 따뜻한 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에 평소 열이 많거나 감기에 자주 걸리는 사람들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 과다섭취할 경우 위장장애나 두통을 동반할 수 있으니 적정량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 > 생활 건강,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루이보스 티 효능 부작용 만드는 방법 (0) | 2023.04.15 |
---|---|
명이나물 효능과 부작용, 장아찌 만들기 (0) | 2023.04.13 |
누에 고치 효능과 부작용 (0) | 2023.04.11 |
산양유 효능과 부작용, 치즈 (0) | 2023.04.09 |
카레 효능과 종류, 부작용 (0) | 2023.04.08 |
댓글